[최신 정보] 가능한 한 최선의 자기 개입
가능한 한 최선의 자기 개입
긍정심리학은 사람들의 행복과 웰빙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 분야로, 긍정심리학적 개입(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, PPI)은 개인의 긍정적인 감정과 행동을 촉진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합니다. 그 중 '최선의 자신(Best Possible Self, BPS)' 개입은 참여자가 미래의 최선의 자신을 글로 표현하도록 유도하여 웰빙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, 이미 여러 연구에서 그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. 그러나 그 효과를 발생시키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.
이 연구의 목적은 BPS 개입에서 작성된 글의 내용을 분석하고, 그 내용이 긍정적인 감정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는 것입니다. BPS 개입은 과거, 현재, 미래의 최선의 자기에 대해 글을 쓰는 방식으로 세 가지 시간적 프레임에 따라 긍정적인 감정의 변화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.
연구에 참여한 78명은 BPS 조건과 그 변형인 현재의 최선의 자신과 과거의 최선의 자신을 주제로 글을 쓰는 세 가지 조건으로 무작위 배정되었습니다. 각 조건에서 작성된 글을 분석하여 주요 주제와 특징을 도출하고, 이를 바탕으로 긍정적인 감정 변화와의 관계를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분석하였습니다. 그 결과, 조건별로 글의 내용에 차이가 있었고, 회귀 분석과 매개 분석을 통해 글의 내용이 긍정적인 감정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습니다.
과거의 최선의 자신을 쓴 경우, 참가자들은 친구들과의 관계를 더 많이 언급했고, 감각적인 세부 사항을 더 많이 포함했습니다. 현재의 최선의 자신을 쓴 경우, 참가자들은 자신의 기술과 긍정적인 특성에 대해 더 많이 언급했습니다. 미래의 최선의 자신을 쓴 경우, 가족과의 관계가 더 자주 언급되었고, 가족과 파트너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특징을 강조했습니다. 이 연구에서는 감정적 가치와 사회적 주제(예: 친구, 파트너)가 긍정적인 감정의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결과를 도출했습니다.
또한, 감정적 가치가 긍정적인 감정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, 과거의 최선의 자신을 쓴 경우 감정적 가치가 긍정적인 감정 변화의 예측 변수로 나타났으며, 미래의 최선의 자신을 쓴 경우에는 글의 길이와 학문적 또는 직업적 주제가 긍정적인 감정 변화에 영향을 미쳤습니다. 현재의 최선의 자신을 쓴 경우에는 이러한 예측 변수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.
이 연구는 BPS 개입이 긍정적인 감정의 변화를 촉진하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였으며, 세 가지 개입 조건이 어떻게 다르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. 또한, BPS 개입의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습니다.
개입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특정 특징을 강조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. 예를 들어, 과거 조건에서는 긍정적인 감정을 강조하거나, 사회적 관계(친구, 파트너)를 중심으로 글을 쓰도록 유도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미래 조건에서는 글의 길이를 늘리거나, 긍정적인 특성과 가족 관계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.
연구 결과는 특정 특징을 강조하거나 수정하는 방식으로 개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, 향후 연구는 이러한 메커니즘을 더 깊이 탐구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입니다.
* 참고문헌
Carrillo A, Martínez-Sanchis M, Etchemendy E, Baños RM. Qualitative analysis of the Best Possible Self intervention: Underlying mechanisms that influence its efficacy. PLoS One. 2019 May 17;14(5):e0216896.